고객님과의 원활한 상담을 진행하기 위하여 필요한 최소한의 개인정보를 수집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의 수집 및 이용에 관하여 아래와 같이 고지하오니 읽어보신 후 동의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수집하는 개인정보 항목 : 성명, 연락처
개인정보의 수집 및 이용 목적 : 정확한 상담 및 유익한 정보의 제공, 상담을 위한 전화 연락
개인정보 보유 및 이용 기간 : 신청 후 상담이 마감되는 기간까지 보유. 철회를 원하시는 경우 02-6969-8951로 전화 주시면 삭제 가능
수집자 : 전자신문 기업성장지원센터
구독 신청을 하시면 전자신문에서 발행되는 뉴스레터를 보내드립니다.
포 럼전문가칼럼
02 · 6969 · 8951평일 AM 9:00 ~ PM 6:00
임원 무보수 기간 퇴직금, 사례별로 정리해봅시다 | 2025-02-14 |
---|---|
법인 설립 후 여러 이후로 임원, 특히 대표이사의 경우 무보수로 근무하는 경우가 종종 있습니다. 과연 임원이 무보수로 근무한 기간에도 퇴직금을 받을 수 있을까요? 결론부터 말씀드리면 무보수 기간에 상관없이 퇴직금은 받을 수 있습니다. 그러나 임원의 경우 소득세법(22조)에서 퇴직소득세 한도를 제한하고 있기 때문에, 무보수 기간에 따라 퇴직소득으로 인정되지 않아 절세효과가 없을 수 있습니다. 퇴직금을 받으려는 이유는 세금 때문입니다. 근로소득 또는 배당소득 등은 합산과세되는 종합소득이고, 4대 보험(임원의 경우 고용보험, 산재보험 제외) 역시 납부해야 하기 때문에 실효세율이 높을 수밖에 없습니다. 그러나 퇴직소득은 분리과세로 종합소득세에 합산되지 않으며, 4대 보험 부과 대상에서도 제외됩니다. 따라서 상대적으로 세금이 적기 때문에 근로소득 등과 비교하여 절세효과가 있는 것입니다. 임원이 퇴직금을 수령한 경우 무보수 기간을 사례별로 구분하여 퇴직소득 인정 여부에 대해서 설명해 드리겠습니다.
주주총회에서 임원의 공로를 인정하여 퇴직금이든 퇴직위로금이든 퇴사일에 5억을 지급했다고 가정할 경우, 이 임원의 퇴직소득세 한도를 계산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전체 근무 기간을 무보수로 근무하였기 때문에 소득세법 제22조에서 규정하는 임원의 퇴직소득세 한도를 계산할 경우 ①번과 ②번 모두 퇴직소득세 한도는 없습니다. 그래서 퇴직금 명목으로 지급한 경우라도 퇴직소득세 한도가 0원이기 때문에 5억 전액 근로소득세로 과세되는 것입니다.
임원이 입사일부터 무보수로 근무하다가 퇴직한 날 기준으로 소급하여 3년간 동일하게 월 1,000만 원의 급여를 지급받았고 주주총회에서 퇴직금을 5억 원 지급하기로 결의한 경우, 퇴직소득세 한도를 계산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2019년 12월 31일까지는 무보수로 근무한 기간이기 때문에 ①번의 임원 퇴직소득세 한도는 0원이고, 퇴직 전 3년 동안 급여를 동일하게 월 1,000만 원씩 지급하였기 때문에 3년 연평균 환산액은 12,000만 원이 되어 ②번의 임원 퇴직소득세 한도는 144,000,000원이 됩니다. 때문에 이 임원의 경우 144,000,000원은 퇴직소득세, 초과 금액 356,000,000원은 근로소득세로 과세되는 것입니다.
임원이 입사일부터 2019년 12월 31일까지는 월 1,000만 원의 급여를 동일하게 지급받고 2020년 1월 1일부터 퇴사일까지 무보수로 근무했으며 주주총회에서 퇴직금을 5억 원 지급하기로 결의한 경우, 퇴직소득세 한도를 계산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2019년 12월 31일까지 동일하게 월 1,000만 원씩을 지급하였기 때문에 ①번의 임원 퇴직소득세 한도는 3년 연평균 환산액 12,000만 원의 3배수를 적용하면 288,000,000원이 되며, 2020년 1월 1일 이후 무보수로 근무하였기 때문에 ②번의 임원 퇴직소득세 한도는 0원이 됩니다. 때문에 이 임원의 경우 288,000,000원은 퇴직소득세, 초과 금액 212,000,000원은 근로소득세로 과세되는 것입니다. 흔히 발생하는 사례는 아니지만, 임원 퇴직소득세 한도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해서 억지로 사례를 만들어 봤습니다. 입사일부터 무보수로 근무하다가 2017년 1월 1일부터 2019년 12월 31일까지 3년간 월 1,000만 원의 급여를 동일하게 지급받고, 코로나 등의 여파로 다시 무보수로 근무하다가 2023년 1월 1일부터 퇴사일까지 3년간 또다시 월 1,000만 원의 급여를 동일하게 지급받은 임원에게 주주총회에서 퇴직금을 5억 원 지급하기로 결의한 경우 퇴직소득세 한도를 계산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2019년 12월 31일까지 동일하게 월 1,000만 원씩을 지급하였기 때문에 3년 연평균 환산액은 12,000만 원이 되어 ①번의 임원 퇴직소득세 한도는 3배수를 적용하면 288,000,000원이 되고, ②번의 임원 퇴직소득세 한도는 퇴직 전 3년 동안 급여를 동일하게 월 1,000만 원씩 지급하였기 때문에 3년 연평균 환산액은 12,000만 원이 되어 2배수를 적용하면 144,000,000원이 됩니다. 때문에 이 임원의 경우 ①+②=432,000,000원은 퇴직소득세, 초과 금액 68,000,000원은 근로소득세로 과세되는 것입니다.
임원의 퇴직소득세 한도는 위 네 가지 사례에 대부분 포함될 것입니다. 임원에게 무보수 기간을 포함하여 퇴직금을 지급하길 원하는 법인은 당장 퇴직을 결정하기보다는 지금까지의 급여 지급 시기와 앞으로의 급여 지급을 계획하여 퇴직 시점을 결정하는 것이 퇴직금에 대한 세금을 절세하는 방법입니다. 위의 네 사례에 대입하여 임원 퇴직소득세 한도를 계산해 보시기 바랍니다. |